티스토리 뷰

반응형

알캡쳐 사용법으로 간단하게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과 스크롤캡쳐를 하는 사용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 스크린샷 프로그램은 이용법이 워낙에 간단하고 직관적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잘 사용 못하는 분들도 쉽게 쓸 수 있습니다.

※기능

  • 직접지정: 원하는 곳만 캡쳐를 할 수 있습니다.
  • 창 캡쳐: 현재 띄워져있는 윈도우 창 하나를 스크린샷할 수 있습니다.
  • 단위영역: 알캡쳐가 자동으로 단위를 측정 및 계산을 해서 찍는 것입니다.
  • 전체화면: 현재 켜져있는 모니터 전체를 찍는 것입니다.
  • 스크롤: 인터넷 화면의 스크롤 영역부분을 캡쳐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지정사이즈: 본인이 사이즈를 만들어서 찍는 것입니다.

※단축키 설정하기

알캡쳐 사용법으로 단축키 설정은 위 기능 6가지에 적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제가 실제로 쓰고 있는 단축 버튼을 보시고 참고를 한 후에 본인에게 맞는 키로 만들면 되겠습니다.

환경설정으로 들어가서 단축키설정 항목으로 이동을 하시면 위와 같은 그림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PrintScreen(프린트스크린)은 아시다시피 전체화면을 캡쳐하는 것인데 이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에 기본으로 설정된 값입니다.

그러므로 해당 부분에 체크가 됐을 경우 중복된 값이라고 나오는데요. 위처럼 체크를 풀고 캡쳐 단축키 설정란에 있는 전체캡쳐를 따로 단축 버튼을 만들면 PrintScreen과 같은 기능으로 쓸 수가 있습니다.

저는 직접지정은 알트+1번, 창 캡쳐는 알트+2번으로 설정을 하여서 쓰고 있습니다.


※스크롤캡쳐

많은 분들이 알캡쳐에서 스크롤 스크린샷이 잘 안된다고 하는데요. 이를 원활하게 쓰려면 구글 크롬브라우저가 아니라 윈도우의 기본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로 써야합니다.

크롬브라우저로 스크롤캡쳐를 하면 검은색으로 화면이 나오기 때문에 웬만하면 익스플로러(기본 브라우저)를 쓰는 게 좋습니다.

스크롤 캡쳐라는 것은 위 화살표들이 가리키고 있는 즉, 캡쳐를 해도 보이지 않는 영역까지 찍는 것을 말합니다.

스크롤 스크린샷을 찍기 위해서 스크롤 항목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본인이 찍고 싶은 웹사이트에 그냥 마우스 왼쪽 클릭을 하면 자동으로 알캡쳐서 스크롤로 찍어버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