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아이폰에 백업은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그냥 단방향성의 성격을 가진 백업과 양방향의 성격을 가진 실시간백업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실시간백업은 동기화라고 말을 합니다.


동기화라는 것은 쉽게 말을 하자면 아이폰으로 찍은 사진을 곧바로 아이패드 또는 맥북(MAC)에서 확인하는 것을 뜻합니다.

백업이라는 것은 나중에 아이폰 기기변경 혹은 기기분실했을 때 새로운 기기에서 기존에 쓰던 설정, 사진, 연락처, 통화목록 등을 다시 불러오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폰 백업&동기화는 아이클라우드(iCloud)라는 개인서버(클라우드)에 보관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애플(Apple)기기를 사용한다면 똑같은 애플계정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폰 백업 방법 및 동기화(아이클라우드) 설명서

오늘은 간단하게 아이폰 백업 방법 및 백업과 동기화에 대해서 설명을 하여보았습니다. 아이폰을 처음 사용하시거나 아직 동기화, 백업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아이폰 백업설정하는 방법.

아이폰 백업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그저 아이클라우드(애플)계정에 로그인이 된 상태에서 [켬]이라는 글자만 누르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와이파이(WiFi)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이 되고 있으며 잠금상태일 때 자동으로 아이폰에 있는 사진, 설정, 음악, 통화기록 등등이 백업됩니다.

백업을 켜거나 혹은 끄기 위해서 최초 [설정]앱으로 이동을 합니다. 그리고 설정안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본인의 애플(아이클라우드)계정 프로필을 터치하여주세요.

프로필 안에서 iCloud(아이클라우드)메뉴를 터치합니다. 그리고 [iCloud]를 눌러주세요.

iCloud백업란에 있는 [흰색 동그라미]를 눌러주시면 활성화가 됩니다. 위 사진에서는 iCloud백업이 꺼져있는 상태입니다. 저는 아이폰 백업을 아이클라우드가 아닌 PC 아이튠즈로 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것들이 백업될까요?

아이클라우드서버에 백업되는 데이터항목은 벨소리, 노래, 동영상, 사진, 앱, 책, 문자(메시지), 홈화면구성, 아이폰 기기설정, 통화기록 등등이 됩니다.



2. 아이폰 동기화(실시간 백업)설정 방법.

아이폰동기화는 백업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위에서도 말을 했지만 몇 개의 애플 전자기기를 갖고 있다면 동기화기능은 매우 좋은 역할을 합니다.

아이폰7에서 작성한 미리알림, 메모, 캘린더(일정) 등등을 또 다른 아이폰, 아이패드, MAC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같은 아이클라우드 계정일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아이폰 설정앱을 실행하고 프로필을 터치합니다.

[icloud를 사용 중인 앱]에서 보이는 사진, Mail, 연락처, 캘린더, 미리 알림, 메모, Safari 등등 위 사진의 좌측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동기화(실시간백업)되는 것입니다.

만약 동기화를 시키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켜져있는 것을 꺼주시면 됩니다.

iCloud Drive(아이클라우드 드라이브)라고 쓰여진 곳 밑에 있는 앱(어플)들은 해당 앱에서 다운로드받은 데이터를 아이클라우드서버에 저장을 시킨다는 말입니다.


※사진 동기화 설정에 대해서

많은 아이폰유저들이 헷갈려하고 있는 아이폰 사진백업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았습니다.

▶iCloud 사진 보관함: 

위 처럼 iCloud 사진 보관함을 켜면 아이폰으로 촬영한 동영상, 사진들이 연결된 다른 애플기기에서도 볼 수 있다는 말입니다.


▶iPhone 저장 공간 최적화/다운로드 및 원본 유지:

[iPhone 저장 공간 최적화]는 아이폰으로 촬영하는 사진을 본인이 갖고 있는 아이폰 해상도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뜻합니다.


[다운로드 및 원본 유지]는 사진을 리사이징(줄이지)하지 않고 원본 그대로 아이폰에 저장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쉽게 말하자면 아이폰 용량이 없을 때 iphone저장공간최적화에 체크를 하시면 되겠고 용량이 넉넉하다면 다운로드 및 원본유지에 체크표시를 하면 됩니다.

※iphone저장공간최적화로 해도 원본사진은 아이클라우드서버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원본화질을 저하시키지 않습니다. 다만 아이폰용량관리를 위해서 아이폰에서만 아이폰해상도에 맞게 사진이 살짝 리사이징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