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타이레놀 진통제는 의사에 처방이 필요없이 인터넷, 약국,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이 되겠습니다. 이 타이레놀은 두통, 발열, 신경통, 생리통 및 몸에서 나타나는 통증을 낫게 만들어주는 약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많은 남성분들은 두통기가 있을 떄 여성분들은 생리통이 있을 때 많이 타이레놀를 찾고는 하는데요.



오늘은 간단하게 타이레놀 복용법 및 효과, 부작용 그리고 기타 지속시간 및 중요한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의 타이레놀에 대한 글을 한 번 보시고 참고를 하시길 바랍니다.


타이레놀이란?

아세트아미노펜이라는 진통성분이 구성하고 있는 타이레놀은 최초 미국에 줄리어스 엑셀로드, 버나드 브로디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진통효과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발명을 했습니다.

타이레놀은 위에서 잠깐 설명을 했지만 몸에 어떤 통증이 발생했을 때 복용을 하는 진통제이며 가격은 약 2천5백원정도 합니다.


타이레놀 효과

관절통, 치통, 생리통, 근육통, 신경통, 두통, 발열이 있을 때 타이레놀를 섭취하면 통증이 그나마 괜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통증이 지속될 경우 타이레놀를 계속 먹는 거보다 병원을 찾아가는 것이 좋다고 하며 타이레놀 진통제는 그저 일회성으로 잠깜 덜아프게 해주는 것이지 어떠한 통증을 완전히 낫게 만들어 주는 약이 아니니 참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타이레놀 복용법

이 진통제를 복용할 때는 절대로 하루 8알 이상을 먹어서는 안됩니다. 이유는 타이레놀에 들어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이라는 성분이 사람의 간에 치명적인 손상을 불러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약을 복용할 때는 한 번에 1알 또는 2알씩만 복용을 하시고 하루 4알은 가급적이면 넘기지 않는 것이 좋고 간격은 약 5~7시간을 두고 복용해야 안전합니다.

1. 하루에 8알 이상은 복용하지 않는다.

2. 한 번에 2알까지만 먹는다.

3. 간격은 5시간을 두는 것이 좋다.


참고로 타이레놀은 식전 또는 식후 등 언제든지 복용을 하셔도 관계가 없습니다. 해당 진통제는 위장에 부담을 거의 주지 않는 아세트아미노핀이라는 성분이 주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타이레놀 지속시간은?

대부분에 진통제들은 복용 후 약 20분~1시간 정도 뒤에 그 효과를 나타내게 되며 이때 지속시간은 약 5시간~8시간정도 유지가 됩니다. 참고로 타이레놀 지속시간은 최대 7시간~8시간까지입니다.

만약 아침에 두통 등과 같은 어떤 통증이 있을 경우 곧바로 진통제를 하나 먹고 오후 3시까지 경과를 지켜본 후 한 알을 더 먹거나 그만 먹으면 되겠습니다.


타이레놀 부작용에 대한 정보.

타이레놀에 부작용은 분명히 있습니다. 사람마다 체질이 다르기 때문에 부작용이 일어나는 종류가 다양합니다. 어지러우, 구토, 오심, 몸이 간지러움, 두드러기증상이 일어 날 수 있습니다.


감기약과 같이 타이레놀을 복용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감기약에는 타이레놀에 들어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감기약과 진통제를 함께 섭취하면 하루 먹어야 하는 하루 권장량 이상을 복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간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위에서 말한 각종 이상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다음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분은 타이레놀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심환계 항우울제 약을 복용하고 있는 자.

2. 아스피린 천식을 갖고 있는 자.

3. 심장기능 장애를 갖고 있는 자.

4. 신장 장애를 갖고 있는 자.

5. 간질환을 갖고 있는 자.

6. 소화성 퀘양을 갖고 있는 자.

또한 타이레놀를 먹고 아래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앞으로 타이레놀을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의 증상은 타이레놀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 되겠습니다.

1. 소화성궤양, 식욕부진, 구토, 헛구역질

2. 저혈압증상, 얼굴이 붓는 증상

3. 갑자기 식은 땀이 나는 증상

4. 몸에 두드러기 및 간지러운 증상

5. 호흡곤란증상 및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



타이레놀에 대한 잘 못된 상식 몇 가지.

1. 카페인이 들어 있나요?

타이레놀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타이레놀에 카페인이 들어 있다고 생각을 하시고 이를 먹으면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다고 하지만 카페인이 들어 있는 진통제는 판콜, 판피린큐, 사리돈, 그날엔, 펜잘큐, 게보린이 되겠습니다. 타이레놀은 카페인이 들어 있지 않는 진통제이고 수면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2. 내성이 있나요?

많은 사람들이 타이레놀를 자주 먹게 되면 내성이 생겨서 좋지 않다고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 타이레놀은 비마약성 진통제이기 때문에 내성이 전혀 없는 의약품입니다.

습관적으로 매일 복용하는 것은 (부작용이 없지만) 그리 좋은 것은 아니지만 몸에 통증이 왔을 때 내성을 걱정하고 참는 거보다 알맞게 하루 권장량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3. 숙취에 도움이 된다?

결코 진통제는 숙취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과음을 해서 속이 안좋고 머리가 아프다고 해서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를 먹으면 몸에 아주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진통제를 먹으면 해당 약이 우리 몸에 있는 혈류를 따라서 간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알코올때문에 기능을 잘 못하는 간이 진통제 약을 만나게 되면서 NAPQI라는 독성물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렇게 간과 NAPQI가 만나게 되면 진통제 분해가 잘 안되고 독성물질이 만들어지며 간에 이상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